콜백 함수란, 다른 함수의 인자로 넘겨져서 그 함수 안에서 특정 조건이나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호출되는 함수이다. 즉, 다른 함수가 콜백 함수를 실행하는 것을 기다린 후, 특정 상황이 발생하면 콜백 함수를 실행하는 방식이다. 간단히 예제를 보며 이해해보자.const printResult = (a, b) => { let result = a + b; console.log("결과:", result);};const doubleResult = (a, b) => { let result = a + b; console.log("결과에 2를 곱한 값:", result * 2);};printResult(5, 3);doubleResult(5, 3);위와 같이 코드를 작성하면 let result = 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