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9

상태관리

오늘은 상태관리에 대해서 알아볼 예정이다. 상태란 무엇일까?=> 웹 페이지 내에서 눈에 보이는 / 보이지않는 모~든 데이터 변화를 상태라고 한다.예를들면,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 값, 버튼, 체크박스 등 진짜 말그대로 값이 변하는 모든 데이터!! 그러니까, 지금 작성하고 있는 블로그의 상단 이 화면또한 모두 상태이다. 그럼 이러한 변하는 데이터들을 관리할 필요가 있어보인다. 우리는 이를 상태관리라고 한다.페이지를 사용자의 화면에 띄우는 작업을 렌더링이라고 하는데, 상태가 바뀔때마다 웹페이지 전체가 리렌더링 된다면, 화면의 깜빡임 혹은 로딩처럼 화면이 계속해서 다시 뜨는 것을 보게될 것이고, 이는 사용자 UX에 좋지 못하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상태관리가 필요하다! 그럼 위에서 말한 리렌더링을 방지하기 ..

개발 2025.07.13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Dive] Js 심화 스터디 week 03

함수 : 함수는 일련의 과정을 문으로 구현하고 코드 블록으로 감싸서 하나의 실행 단위로 정의한 것.[함수를 사용하는 이유]필요할 때마다 한번 정의해 둔 것을 호출만 하면서 재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으로 우리는 함수를 사용한다. 그것도 아주 많이. + 코드의 가독성 향상 측면도 아주 크다.[함수 리터럴]함수 리터럴의 구성요소var f = function add(x, y) { return x + y;}- function 키워드- 함수 이름- 매개 변수 목록- 함수 몸체[함수정의]-함수 선언문 : function add(x, y) { return x+y; } 방식- 함수 표현식 : var add = function add(x, y) { return x+y; }; 이렇게 변수에 할당하는 ..

개발 2025.07.13

DOM과 DOM API

[DOM 이란?]자바스크립트는 DOM을 통해 웹 페이지의 요소에 접근할 수 있다. DOM이란 Document Object Model의 약자로, 문서 객체 모델이다. DOM은 HTML로 작성된 여러 요소들에 자바스크립트가 접근하고 조작할 수 있도록 브라우저가 변환시킨 객체이다.쉽게 말하면 HTML로 작성된 요소들을 자바스크립트가 이해할 수 있도록 객체로 변환한 것 DOM 트리 예시네모 박스: HTML로 작성된 태그태그 요소 하나 하나를 노드(Node)라고 부름. 이 노드는 전부 하나의 객체로 이루어져 있음.이러한 DOM 트리를 통해 웹 요소를 웹 페이지에 나타낼 수 있고, 자바스크립트는 이 객체들을 사용해 웹 페이지를 조작할 수 있다. 노랑색으로 표시된 노드는 document 즉, 문서 노드파랑색으로 ..

개발 2025.07.10

비동기와 API

오늘은 비동기와 API 에 대해서 알아볼 예정입니다.위 그림은 동기 / 비동기 를 이해하기 가장 유용한 것 같아 첨부하였습니다.동기 예시는 아래와 같습니다.const workA = () => { console.log('workA');};const workB = () => { console.log('workB');};const workC = () => { console.log('workC');};workA();workB();workC();위와 같이 작성한 코드는 호출 순서인 workA(), workB(), workC() 순으로 수행됩니다. 이번에는 자바 스크립트에서 사용하는 비동기 내장함수 setTimeout() 을 수행하여 비동기의 동작 흐름을 알아보겠습니다.const workA = (..

개발 2025.07.09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Dive] Js 심화 스터디 week 02

목차07 연산자08 제어문09 타입 변환과 단축 평가10 객체 리터럴11 원시 값과 객체의 비교[07 - 연산자]산술연산자 : 수학적 계산으로 새로운 숫자 값 만듦. 산술 연산이 불가하 경우 NaN 반환이항 산술 연산자 : +, -, *, /, %단항 산술 연산자 : ++, --, +(어떠한 효과도 없다), - (음수는 양수로, 양수는 음수로 변환)문자열 연결 연산자 : 문자열a + 문자열b = 문자열ab. 단, 해당 연산은 피연산자 중 하나 이상이 문자열인 경우에만 발생한다. 그 외에는 산술연산자로 동작한다.// true는 산술 연산시 1이라는 값을 갖는다.1 + true; // 2// false 는 산술 연산시 0이라는 값을 갖는다.1 + false; // 1// null은 산술 연산시 0이라는 값을..

개발 2025.07.08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Dive] Js 심화 스터디 week 01

목차1장 - 프로그래밍2장 - 자바스크립트란?3장 - 자바스크립트 개발 환경과 실행 방법4장 - 변수5장 - 표현식과 문6장 - 데이터 타입 서론은 건너뛰고 주요내용 위주로 정리 예정 [2.2 자바스크립트의 표준화 및 배경] [배경]- 마이크로 소프트는 자바스크립트의 파생 버전인 JScript를 자사 브라우저에서만 동작하는 기능을 추가하기 시작했고 이로인해 크로스 브라우징 이슈가 발생- 표준화된 자바스크립트의 필요성 증가 [표준화] - 1997년 7월 ECMA-262 라는 표준화된 자바스크립트 초판 사양 완성 및 ECMAScript 로 명명 이후 2015년 ECMAScript 6 (ES6) 가 공개되었고 이때 - let / const 키워드- 화살표 함수- 클래스- 모듈위와 같은 기능들이 대거 도입되며..

개발 2025.06.27

배열메서드 알아보기 feat(map, filter..)

오늘은 JavaScript 의 배열 메서드에 대해서 정리해볼 예정이다.굉장히 자주 쓰이고, 콜백 함수와 함께 사용되는 대표적인 배열 메서드인 map() 부터 알아보도록 하겠다.map() 은 언제 사용하는가?기존 배열의 값을 새롭게 가공할 때 사용한다고 보면 된다.map() 을 사용하지 않고 작성한 코드를 먼저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let arr = [1, 2, 3, 4, 5];let newArray = [];for (let i = 0; i 위와 같이 새로운 빈 배열 newArray를 생성한 뒤 반복문 속에서 newArray에 원하는 값을 push해주는 방식의 코드이다.이번에는 map()을 활용하여 위 코드를 조금더 간단하게 바꿀 것이다.let arr = [1, 2, 3, 4, 5];let newArray..

개발 2025.06.25

콜백 함수

콜백 함수란, 다른 함수의 인자로 넘겨져서 그 함수 안에서 특정 조건이나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호출되는 함수이다. 즉, 다른 함수가 콜백 함수를 실행하는 것을 기다린 후, 특정 상황이 발생하면 콜백 함수를 실행하는 방식이다. 간단히 예제를 보며 이해해보자.const printResult = (a, b) => { let result = a + b; console.log("결과:", result);};const doubleResult = (a, b) => { let result = a + b; console.log("결과에 2를 곱한 값:", result * 2);};printResult(5, 3);doubleResult(5, 3);위와 같이 코드를 작성하면 let result = a ..

개발 2025.06.22

화살표 함수 (feat : 함수표현식 vs 함수선언식)

프로젝트를 하며 js를 다루다가, api 연동 혹은 리액트 코드 작성을 위해 사용한 함수식은 대부분 화살표 함수로 작성되어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과연 내가 제대로 알고 쓰는것일까? 문득 궁금하여 다시 공부하고 내용을 정리해서 글로 남겨두고자 한다.어떻게 동작하는지 모른채로 접한다면 이해하기 힘들 수 있다. 우선 화살표함수는 ES6 이후 문법으로 function 키워드 대신 "=>" 모양을 사용하여 만든 함수이다. 이 글에서 알아볼 방식은 함수를 선언하는 방식 중 함수표현식과 함수선언식 방식이다. 화살표 함수 - 화살표 함수는 function 키워드 대신 => 기호를 사용하는 함수 표현식이다.const add = (a, b) => a + b;console.log(add(2, 3)); // 5 함수 선언식..

개발 2025.06.21